시스템을 모델링할 때 사용하는 전달함수( G(s) )는 아래와 같다.

G(s) = Y(s) / U(s)

Y(s)는 출력의 라플라스 변환

U(s)는 입력의 라플라스 변환


극점
(pole)
이란 G(s)를 무한대로 만드는 s값이다. U(s) = 0이 되는 s값이다.

영점(zero)이란 G(s) = 0을 만다는 s값이다. Y(s) = 0이 되는 s값이다.


이러한 극점과 영점이 좌표계의 어느 위치에 있느냐에 따라 시스템의 안정성에 영향을 준다
.


극점

극점이 음의 실수로 갈수록 시스템은 수렴한다.(안정하다)

극점이 양의 실수로 갈수록 시스템은 발산한다.(불안정하다)


영점

영점은 허수축에 가까이 있는 값만 의미가 있다.

허수축의 좌측에 있으면 오버슈트가 우측에 있으면 언더슈트가 발생한다.





[출처] http://blog.naver.com/ej888ej?Redirect=Log&logNo=130068216680

'OpenSTUDY > Electron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경민테크] BLDC 구동원리  (0) 2011.10.17
PID source  (0) 2011.10.11
PID제어  (0) 2011.10.11
FFT (Fast Fourier Transform)  (0) 2011.10.09
전압, 전류 분배 법칙  (0) 2011.10.09

+ Recent posts